본문 바로가기
Future News

AI, 공공 분야에서도 활용

by 미래채널 2024. 2. 29.
반응형

인공지능(AI)은 빠르게 발전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공공 분야에서도 AI 활용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AI는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을 높이고, 공무원의 업무 부담을 줄이며, 국민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AI, 공공 분야에서도 활용

AI 활용 사례

1) AI 삭제 지원 프로그램: 서울시는 디지털 성범죄 예방을 위해 'AI 삭제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했습니다. 이 프로그램은 피해 영상을 빠르게 찾아내 삭제 지원하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I 기술을 활용하면 사람이 직접 모니터링할 때 2시간 걸리던 삭제 업무를 3분 만에 처리할 수 있습니다.

 

2) AI기반 정보공개 민원처리 지원모델 : 행정안전부는 'AI기반 정보공개 민원처리 지원모델'을 개발했습니다. 이 모델은 정보공개 청구 관련 업무를 처리하는 공무원을 돕는 기능을 제공합니다. AI 기술을 활용하면 민원 내용을 요약하고, 과거 유사 청구 내역을 표출하는 등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AI 활용 확대

정부와 지자체는 AI 기술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 서울시는 '2024년 AI 이용환경 조성 계획'을 세우고, 공무원들이 각자 직무에 맞는 AI 활용법을 익힐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입니다. 과학기술부도 대국민 공공·행정지원 서비스 전반에 걸쳐 AI를 더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입니다.

AI 활용 기대 효과

1) 공공 서비스의 효율성 증대: AI 기술을 활용하여 데이터 입력, 문서 작성, 민원 처리 등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할 수 있습니다. 이는 공무원의 업무 시간을 단축하고, 업무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2) 공무원의 업무 부담 완화: AI 기술을 활용하여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하면 공무원의 업무량을 줄일 수 있습니다. 이는 공무원의 업무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업무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3) 국민 만족도 향상: AI 기술을 활용하여 24시간 이용 가능한 온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거나, 다양한 언어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이는 국민들이 공공 서비스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 서비스 만족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

 

 

AI 기술은 공공 분야에서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는 AI 기술을 적극 활용하여 공공 서비스의 질을 높이고, 국민 만족도를 향상시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