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Future News

고인을 기억하는 새로운 방식: AI 챗봇과 디지털 애도

by 미래채널 2025. 5. 26.
반응형

최근 AI 기술이 놀라운 속도로 발전하면서, 이제는 사망한 가족이나 지인과 ‘대화’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해졌다는 이야기가 들려옵니다. 생전의 문자, 음성, SNS 기록 등을 바탕으로 고인의 말투와 성격을 모방한 챗봇이 등장하고 있는 겁니다. 이 챗봇은 단순한 지식 기반의 응답을 넘어, 감정 표현, 대화 스타일, 심지어 농담하는 방식까지 고인의 모습을 재현하려 합니다. 처음 이 소식을 접했을 때, 저도 혼란스러웠습니다. 기술이 정말 여기까지 왔구나 하는 감탄과 동시에, 이것이 과연 괜찮은 방향인지에 대한 질문이 떠올랐습니다.

AI 챗봇

기술일까, 추모일까

AI 챗봇은 분명히 기술입니다. 그러나 그 목적이 고인을 ‘기억’하는 데 있다면, 그것은 일종의 ‘추모의 도구’로 받아들여질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몇몇 스타트업은 고인의 데이터를 기반으로 맞춤형 챗봇을 제작해, 유족이 마지막 인사를 나누거나 정서적 위안을 얻도록 돕고 있습니다. 하지만 여기서 중요한 건 이 대화가 진짜냐는 물음입니다. 우리가 대화하고 있는 대상은 실제 고인이 아니라,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일 뿐입니다. 그 목소리와 말투는 익숙할지 몰라도, 그 안에는 더 이상 '그 사람'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기억을 디지털로 재현하는 행위는 어쩌면 애도의 방식이라기보단, 현실 부정에 가까운 감정일 수도 있습니다.

위로인가, 집착인가

저도 가까운 사람을 떠나보낸 경험이 있습니다. 마지막 인사를 못 했다는 아쉬움, 더 자주 연락하지 못한 미안함이 오래 남았습니다. 그래서 이런 기술이 주는 감정적 위안이 어떤 의미인지, 조금은 짐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만약 제가 그 사람과 계속해서 대화할 수 있다면, 과연 마음이 편해질까요? 아니면 이별을 미루는 데만 집착하게 될까요? AI 챗봇이 애도를 돕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상실의 감정을 정지시키는 역할을 할 위험성도 함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인간의 감정을 대신할 수 있을까

AI는 점점 정교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감정은 데이터로 완전히 구현되지 않습니다. 말투는 흉내 낼 수 있어도, 그 사람만이 가지고 있던 맥락과 삶의 깊이는 결코 동일하게 재현될 수 없습니다. 챗봇은 기억을 보조할 수는 있지만, 그 사람 자체가 될 수는 없습니다. 우리는 누군가를 기억할 때, 그가 했던 말뿐 아니라, 함께 있었던 시간, 표정, 기분, 공기까지도 기억합니다. 그런 기억은 기술이 다룰 수 있는 영역이 아닙니다. 그래서 저는 이 기술이 ‘사람을 잊지 않기 위한 도구’로 쓰이는 건 좋지만, ‘사람을 잊지 않기 위한 이유’가 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AI 추모 챗봇은 이제 막 시작된 기술입니다. 더 발전할 수도 있고, 더 상업화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기술의 방향을 결정하는 건 결국 사용하는 사람입니다. 우리는 이 기술을 통해 무엇을 얻고 싶어 하는지, 그리고 무엇을 놓치고 있는지 스스로 물어야 합니다. 잊지 말아야 할 건, 애도는 기술이 아닌 인간이 경험하는 과정이라는 점입니다. 챗봇은 우리 곁에 잠시 머물 수는 있겠지만, 진정한 이별과 회복은 결국 우리 마음에서 이뤄져야 합니다.

 

반응형